
대전 동구 천동 철거촌.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한 담장과 지붕들이 위태로운 가운데 허름한 주택의 문을 열고 들어가자 한 무리의 개들에 파 묻혀 있는 할머니가 있습니다.
할머니는 곁에 있는 강아지들을 책임지느라 철거촌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충격적인 사실은 할머니 집에 살고 있는 개가 무려 80마리나 되었다는 점입니다.
할머니에게는 대체 어떤 사연이 있었던 것일까요..

사연의 전말
사연의 시작은 20년 전으로, 집 앞에서 떨고 있던 유기견 한 마리가 처음으로 할머니의 발길을 붙잡게 됩니다.
“원래 개 두 마리를 키웠었는데 누가 훔쳐갔어. 그거 찾으러 두 달을 헤매다가 우울증까지 왔어. 어느날 일을 갔다 오는데 강아지 한 마리가 집 앞에 떨고 있더라구. 밥을 주니까 환장하고 먹어.(웃음) 그날 이후 이 집에서 개 80마리와 살고 있지.”
하지만 조 할머니와 유기견들의 기막힌 동거는 우연이 아닙니다.

동네가 재개발되고, 사람들이 떠나기 시작하면서 개를 버리는 사람들이 늘었다는 할머니.
할머니의 말대로 자고 일어나면 어디서 나타났는지도 모를 개들이 집 앞을 서성거렸습니다.
버려진 개들이 불쌍해서 하나씩 거둔게 어느새 80마리까지 늘었다는 것인데요.
할머니는 자식도 없이 홀로 살면서 누구보다 배고픔과 외로움에 대해 잘 알았기 때문에 이들을 그냥 무시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할머니 마음 속 상처로 돌아온 사람들의 이기심
하지만 조 할머니의 수입은 길거리에서 고물을 주워 팔거나 기초수급비로 받는 50만원이 전부입니다.
유기견들을 모두 보살피기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지요.
설상가상으로 개를 잘 돌본다는 입소문은 어둠을 틈타 조 할머니 집 앞에 유기견을 두고 가는 악순환(?)으로 이어졌습니다.

개를 버린다는 책임을 조금이나마 덜겠다는 사람들의 이기심은 그만큼 할머니를 힘들게 했습니다.
할머니의 살림살이로는 80마리가 넘는 개들 사료 값을 감당할 수 없었고, 어쩔 수 없이 동구청에 도움을 요청도 했지만 결국 50여 마리가 안락사 됐습니다.
경기가 어려워 그나마 있었던 수입이 줄어 사료조차 살 수 없게 됐을 때 너무나도 속상했다는 할머니.
자식처럼 돌본 개들을 먼저 떠나보내야 했을 때는 말로 다 할 수 없는 슬픔을 느꼈다고 합니다.

최근 할머니에게 닥친 두번째 위기
불행 중 다행으로 조 할머니의 이야기가 인터넷상으로 알려지면서 사료를 후원하는 사람들도 많이 생겼습니다.
처음 택배가 집 앞에 온 날, 택배를 쓰레기 박스로 착각 했다던 할머니는 “가족이 없어서 여지껏 택배를 받아 본 적이 없었어”라며 “집 앞에 상자가 있는데 누가 내다버린 쓰레기인 줄 알고 열어봤더니 사료와 쌀이 들어 있더라구. 너무 고마워서 한참 울었어.”라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할머니는 LH공사가 올해 재개발을 시작하면서 곧 집을 비워줘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는데요.

할머니는 “후원 때문에 돈이 많아지고 풍족해지는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니야. 개들만 없으면 편하게 살 수 있는데 왜 그러고 사느냐는 사람들도 있어. 그런데 이 아이들을 입양 보내고 나면 편하지가 않아. 새집으로 이사가려면 이 아이들을 뿔뿔이 입양을 보내야 하잖아. 제대로 입양이 될지, 잘못돼서 안락사 당하는 건 아닌지 속이 바싹 타 들어.” 라며 개들에 대한 책임과 애정을 드러냈는데요.
또한 “조만간 LH에 개들과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물어볼 생각이야. 나는 바라는 게 없어. 그냥 자식 같은 이 녀석들과 함께 살고 싶을 뿐이야.” 라고 말해 사연을 접한 많은 이들을 뭉클하게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