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6학년이 쓴 ‘가장 받고 싶은 상’이라는 이 동시가 요즘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시인’이라는 나태주 시인 마저 이 시를 보고는 눈시울을 붉혔는데요.
초등학생이 썼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애절한 감정이 녹아 있어 모두를 놀라게 한 이 시에는 가슴 아픈 사연이 담겨 있습니다.
심사의원마저 울린 한 초등학생의 짧은 시

이 시는 전북 부안군 우덕초등학교 6학년 이슬 양이 쓴 시로,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애절하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종이 위 연필로 꾹꾹 눌러 쓴 시 옆에는 푸짐한 밥상 곁에 엄마와 손을 꼭 잡고 서 있는 이슬 양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가장 받고 싶은 상>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 짜증 섞인 투정에도 /
어김없이 차려지는 / 당연하게 생각되는 / 그런 상
하루에 세 번이나 / 받을 수 있는 상 / 아침상 점심상 저녁상
받아도 감사하다는 / 말 한마디 안 해도 / 되는 그런 상
그때는 왜 몰랐을까? / 그때는 왜 못 보았을까?
그 상을 내시던 / 주름진 엄마의 손을
작년 초, 엄마가 아프다는 걸 알게 된 이슬 양, 엄마 역시 병원에 다녀온 후 유방암에 걸렸다는 걸 알게 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미 암세포가 손쓸 수 없이 전이된 상황이었고, 어머니는 그렇게 너무나도 빨리 이슬 양의 곁을 떠났습니다.
이젠 엄마 밥상을 받고 싶어도 받을 수 없고 엄마에게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못한 게 많이 후회가 됐다는 이슬 양.
엄마에게 직접 상을 차려 드리고 싶다고, 엄마의 밥상과 엄마의 얼굴이 여전히 그립다고, 엄마를 생각하는 그 마음이 그대로 시에 담겨 있습니다.

한편 이 시는 작년, 전북 교육청에서 주최한 공모전에서 243편의 출품작 중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는데요.
초등학생이 이런 표현을 쓸 수 있는 게 놀랍다며 모두 극찬했고 온라인에서도 재조명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슬 양은 그저 엄마를 생각하며 엄마가 떠오르는 대로 시를 썼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슬 양의 아버지는 이 시를 보고 슬이를 걱정해주시는 분들이 많지만, 아주 씩씩하게 잘 자라고 있다면서 항상 밝게 잘 자라줘서 너무나 자랑스럽다고 전했습니다.